김팀장

[법인자동차] 사업자 승용차 또는 업무용 보험가입 방법 본문

카테고리 없음

[법인자동차] 사업자 승용차 또는 업무용 보험가입 방법

Hi_Kimstar 2025. 3. 18. 23:11
반응형

 

 

✅ 법인 승용차 보험 가입 절차

 

법인 개인사업자 명의로 자동차 보험을 가입하는 절차는 일반 개인 자동차 보험과 유사하지만, 사업 용도로 사용할 경우 보험료나 보장 범위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.

 

 

 

1️⃣ 보험사별 견적 비교

우선 신차 인지 아니면 중고차인지 구별!

*신차라면 차대번호, 차량견적서, 운전하는 사람 정보가 필요

*중고차라면 차량번호, 차량정보, 운전하는사람 정보 필요

 

위 정보를 가지고 비교견적을 해봅니다.

  • 보험사마다 법인 차량 보험료와 혜택이 다르므로 비교 견적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.
  • 법인차량은 차량의 용도(업무용, 비업무용)운전자 범위에 따라 보험료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.

차량용도(개인용, 업무용, 영업용 3가지로 분류)가 다르게 보험 가입을 하면 새로 보험을 가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합니다.

2️⃣ 가입에 필요한 서류 준비

*일반적으로 차량번호(신차 또는 용도전환 차량이라면 차대번호), 차종(차량정보), 운전자범위(누가 운전할 건지), 차주 정보만 있으면 개발원에서 등록이 되어있다면 조회됩니다.

 

이후 추가적으로 번외사항이 생겼을시 아래 서류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.

 

사업자등록증 사본
자동차등록증 사본 (법인 명의)
법인 인감증명서 및 법인 인감도장 (일부 보험사 요청)
운전자 범위에 따라 직원 운전면허증 사본
법인 등기부등본 (필요 시)

 

 

3️⃣ 보험 조건 설정

 

📌 보장 범위 선택

  • 대인배상Ⅰ(의무보험) / 대인배상Ⅱ / 대물배상 / 자기신체사고(자동차상해) / 자기차량손해(자차) 등
  • 사업 목적이라면 운전자 범위를 확대하는 것이 중요함

 

📌 운전자 범위 선택

  • 본인만 운전 (보험료 절감 가능)
  • 가족 또는 직원 포함
  • 누구나 운전 가능 (보험료 증가)
  •  

📌 자동차 용도에 따른 보험 선택

  • 업무용 차량: 일반 승용차로 출퇴근 및 업무용으로 사용
  • 배달/운송용 차량: 운송업(배달, 퀵서비스 등)으로 사용 시 영업용 보험 가입 필수

✔ 사업자 명의 자동차보험은 업무용 도로 사용 여부에 따라 보험료 차이가 큽니다.

 

4️⃣ 보험료 확인 및 가입 진행

  • 각 보험사의 법인 차량 보험료를 확인 후 가입 결정
  • 보험사에 따라 할인 혜택(무사고, 특약 등) 여부 확인

 

5️⃣ 보험료 납부 및 가입 완료

  • 보험료 납부 후 보험 증권 발급
  • 차량에 보험증권 및 가입 확인서 보관
  • 보험료납입내역서 손비처리시 필요함

 

 

 

반응형